덕태산-선각산 (2016.02.20.)
코스: 점전폭포-덕태산-x1128.9-시루봉-홍두깨재-삿갓봉-선각산-점전폭포 (원점회귀). 거리약 10Km, 6시간37분 소요
누구와: 마눌과 나 (2명)
돈: 아침 3,000원(라면X1), 점심 12,000원(된장찌개X2)
홍천군 내면에 있는 산을 가려 했는데, 강원도에 눈이 많을 것이 예상되어 갑자기 행선지를 눈이 없을것으로 짐작하고, 진안군 백운면에 있는 백운계곡을 감싸도는 덕태산과 선각산을 가기로 한다. 04:00 집을 출발....
내비는 경부고속도-평택분기점-대소분기점-회덕분기점-장수분기점-진안IC를 나가 백운계곡으로 안내를 하는데, 교통량과 거리를 계산해서 안내를 하는데 불평을 할 수가 없다. 도중 덕유산휴게소에서 마눌은 아침식사로 라면을 먹고, 식욕이 없는 나는 쌩쌩 굶었다. 도로에서 보이는 높은 산들을 보면 남쪽은 눈이 보이지 않으나 북사면으로는 하얗게 눈이 쌓여 있는게 오늘 산행지를 잘못 잡은 생각이 든다.
백운동 마을로 접어들고 왼편에 주차장을 지나, 관광버스는 진입하지 말라 써 붙였고...마을을 지나면서 내비에 표시된 주차장은 사유지 같아 주차가 망서려지고, 좀더가서 폭포 주변에 주차하기로 한다.
지도(지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부산일보 지도(지도를 클릭하면 확대됨)
점전폭포(07:36)
07:30 점전폭포에 도착, 20여m 더 가서 화장실앞 임도변에 주차를 하고, 폭포로 가서 사진을 찍고는 산행을 출발한다. 시멘트 포장임도를 따라 50여m 가면 이정표와 등산안내지도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임도를 버리고 왼편 산으로 들었다. 출발지의 고도가 600m이고 덕태산까지는 고도차 510m를 계속 오르기만 한다.
점전폭포
폭포앞의 등산지도
화장실앞 주차-산행출발
덕태산 들머리
산길을 8분여 오르면 왼편에 매우 큰 바위가 나오고, 눈이 녹아 고드름이 주렁주렁... 로프도 연이어 나오고 등산로 정비를 잘해놓았다. 정상부가 가까워 오면서 우측 멀리 가야할 능선(금남호남정맥길)과 임도가 내다보이고, 왼편으로 내동산과 그 너머로 산들이 가물가물...
왼편에 큰 바위
저 고드림에 맞으면 즉사..??
로프도 나오고...
또 바위를 지나고
가북등같은 바위도...
우측에 임도와 가야할 정맥능선
왼편 멀리내동산
덕태산(1118.0m)(08:46)3각점
마지막 급경사를 올라 덕태산 정상에 서면 4각 기둥모양의 정상석과 3각점(임실 305)이 있다. 남쪽의 선각산과 투구봉이 내다보이고, 이정표는 점전폭포 2.14Km, 시루봉 2.1Km라 했다.
덕태산 정상
덕태산의 이정표
남쪽에 선각산(우측봉)
정상을 출발, 북동방향으로 완만하게 10여분 내려서면 넓은 헬기장이 나오고 4각기둥의 정상석이 서 있는데, 이곳도 덕태산(1101.8m)이라 했고, 옆의 이정표는 덕태산정상 400m라 했다. 서북방향으로도 리본이 보이고, 시루봉은 동쪽방향으로 가는데 평탄한 길에 산죽이 무성하고 동물과 한사람 발자욱이 눈위에 나 있다.
헬기장에 또 정상석이..
헬기장의 정상석
헬기장의 이정표
산죽밭속으로 길은 나 있고...
09:04 이정표가 서 있는 3거리에 왔는데, 우측은 임도로 내려가는 길이고, 이정표는 덕태산 600m, 시루봉 1.1Km라 했다.
이곳에서 8분여 가면 x1128.9이고 이곳 이정표는 덕태산 1.4Km, 임도 450m, 시루봉 500m라 했는데 아무래도 거리표시가 애매하다.
임도갈림길의 이정표
우측 임도로 가는길
x1128.9의 이정표
x1128.9의 조망
09:32 1150m정도의 봉에 오르면 이정표는 덕태산 1.1Km, 시루봉 900m라 했는데, 이정표의 위치가 잘못됐나보다. 이후 길은 한동안 내려서고 안부를 지나 고도50여m를 오르면 시루봉이다.
1150m봉의 이정표-위치가 잘못..??
시루봉(1145.9m)(09:48)
쇠사슬을 잡고 오르면 시루봉정상인데 아무런 표시는 없고... 정상에서 조금가면 이정표가 있는 3거리이다. 이정표는 시루봉 340m, 덕태산 1.65Km라 했는데, 이곳에서 금남호남정맥 마루금을 만나 남동쪽으로 정맥길을 따른다 (동북방향은 신광재로 가는 길).
시루봉 오름길
시루봉 정상
뒤돌아보는 1150m봉
10:08 지도상 홍두깨재 안부에 내려섰다. 좌우로 길 흔적은 없고...잠간 오르면 x1034.7을 지나 한동안 완만하게 내려섰다.
홍두깨재(10:21)
이정표가 있는 홍두깨재에 왔다. 우측 450m에 임도가 있고 발자욱은 이곳까지만 보이고 이후 동물들 발자욱만 보이고, 로프가 설치된 길을 오르는데, 눈은 푹푹 빠지고, 마눌 등산화는 방수가 않되어 양말이 젖어온다. 재에서 10여분 오르면 x959.5를 지나고...양지바른 장소를 골라 10여분 앉아 쉬면서 간식을 한다.
홍두깨재에서 오름
상고대
x1098.8(11:31)
상고대를 감상하면서 고도차 160여m를 오르면서 왼편으로 삿갓봉, 우측으로 선각산 정상이 내다보이는데, 선각산 정상에는 사람들이 가물거리는게 보인다. x1098.8정상은 오똑한 바위가 있고, 준희님의 팻말도 걸려있다. 남쪽으로 향하던 길은 이봉에서 동남방향으로 휘어져 내려서고 안부를 지나 삿갓봉을 향해 오른다.
x1098.9의 오똑한 바위
x1098.9의 이정표
x1098.9의 팻말
선각산
상고개
삿갓봉(1131.3m)(11:58)
의자와 이정표가 있는 삿갓봉에 올라 쉬면서 간식을 한다. 정상에서 동북방향으로 와룡휴양림 가는 길도 있고... 이곳 이정표는 신광재 5.3Km, 오계치 820m, 와룡휴양림 2.21Km라 했다.
삿갓봉에서 내려서면서 선각산에서 어정대던 단체등산객들을 만난다. 이들이 지나가기를 기다리고.. 이후 이분들이 길을 내주어 눈에 발이 빠질 염려는 없어졌다.
삿갓봉
12:14 금남호남정맥길을 왼편으로 보내고 우측으로 꺾어져 가는데, 정맥쪽으로 30여m에 8각정자가 있고, 단체등산객들이 앉아 쉬고들 있다. 잠시 더 가면 삼각산휴양림에서 올라온 등산객들을 만나고..
뒤돌아보는 정자
12:30 x1023.5를 지나고...이정표는 연이어 나온다. 이곳에서 2분여 더 가면 이정표가 있는 3거리인데, 우측은 점전폭포로 가는 길(2.71Km)이다. 안부를 지나고 선각산을 향해 오르면서 북쪽으로 지나온 덕태산과 시루봉이 시원하게 내대보인다.
점전폭포 갈림길
선각산 오르면서-뒤 삿갓봉(우)
선각산 오르면서 북쪽의 덕태산, 시루봉(우)
선각산(1141.5m)(12:55)
조금 경사지게 계단길을 오르면 정상석이 있는 선각산 정상이다. 잠시 조망을 감상하고 서남방향으로 100여m 가면 능선이 갈리는데에 이정표가 서 있다. 투구봉은 우측길로 1.46Km라 했고, 내려서는 길에는 급경사에 로프를 설치했다.
선각산 정상
저 아래 x1049.5 헬기장이..
x1045.9(13:09)
안부에 내려서고 3분여 오르면 넓은 헬기장으로 된 x1045.9이다. 이곳 정상에서 서북방향으로 내려서면서 저 아래 임도 그리고 투구봉이 내다보인다.
저 앞에 투구봉이..
13:21 길은 급경사이고 로프가 설치돼 있어 바둥대며 내려섰다. 그리고 10여분 더 내려가면서 마눌이 미끄러져 자빠졌는데 아무래도 허리뼈가 상했나보다. 다행히도 일어나 엉기작 거리면서 내려가니 시간이 많이 지체... 투구봉을 생략해야겠다.
급경사 내림길
한밭재임도(13:40)
시멘트포장을 한 임도에 내려섰다. 2분의 등산객 배낭이 이삿짐같이 큰데, 점전폭포에서부터 임도를 따라왔고, 정맥갈림길의 정자에서 야영을 할 예정이란다. 이곳에서 투구봉을 포기하고 임도를 따라 폭포쪽으로 가는데, 자동차 자욱은 나 있지만, 눈이 쌓여 조심조심...
한밭재 임도의 지도
눈덮인 임도
투구봉 기슭에 서 있는 바위
14:09 다리를 건너 임도3거리에 왔다. 그리고 왼편으로 1분여 가면 비포장 임도가 갈라지는 3거리를 지나 14:13 출발지인 덕태산 들머리에 왔다. 30여m 더 가서 차를 회수하고, 차를 돌려 마눌을 태우러 임도를 따라 오른다. 다행히도 마눌은 임도3거리까지 걸어서 왔고, 차를 타고 진안IC에서 고속도로를...
금산휴게소에서 점심을 먹고는 서울로...고속도로는 매우 막히고, 서부간선도로로 막히고...19:30 집에 도착. 마눌 입원을 해야할지...??
'일반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모봉(582.4m) (0) | 2016.06.03 |
---|---|
설악산 토왕성폭포 (0) | 2016.05.30 |
별립산(강화) (0) | 2016.02.10 |
마차산(588.4m) (0) | 2016.02.01 |
까끈봉-매화산(홍천) (0) | 2016.01.09 |